[2·4공급대책]'역세권·준공업·저층' 고밀개발…30만6000가구 공급
[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] 정부가 4일 발표한 주택 공급 확대방안에서 핵심으로 꼽은 공급원은 역세권·준공업지역·저층주거지 등이다. ‘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’을 새로 도입하고, 이들 지
n.news.naver.com
4일 발표한 주택 공급 확대방안에서 핵심으로 꼽은 공급원은 역세권·준공업지역·저층주거지 등이다. ‘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’을 새로 도입하고, 이들 지역을 고밀 개발해 부족한 주택 공급원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. 이렇게 개발되는 물량은 향후 5년간 약 30만6000호에 달할 전망이다. 이날 공급대책에서 발표된 전체 공급물량 83만6000호 중 36.6%를 차지한다.
‘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’은 3년간 한시적으로 도입하는 제도다. 노후화되거나 적절한 개발 없이 방치되고 있는 도심 내 역세권·준공업지·저층주거지 등을 신속히 정비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인 셈이다
도심 공공주택복합사업은 토지주·민간기업·지방자치단체 등이 저개발된 도심 우수입지를 발굴해 한국토지주택공사(LH)나 서울주택공사(SH) 등에 사업추진을 제안하면, 국토부·지자체가 검토한 뒤 해당 지역을 예정지구로 지정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 정부는 공익성과 신속성을 감안해 공공주택특별법으로 추진할 방침이다.
예정지구 지정 1년 이내에 토지주 등 3분의 2 이상이 동의하면 사업이 확정된다.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 ‘통합심의’ 인허가 절차 등을 적용한 공공주도의 ‘패스트트랙’ 방식으로 진행된다.
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으로 추진되는 사업들은 역세권, 준공업지, 저층주거지 등 입지별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개발한다. 특히 역세권(5000㎡ 이상)은 용적률을 최대 700%까지 상향하고 상업시설 비율을 완화한다. 주거와 업무, 상업 기능을 합친 ‘주거상업고밀지구’로 복합 고밀개발한다.
'뉴스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제트 로블록스 메타버스 시대는 언제쯤 가능할까? (0) | 2021.02.05 |
---|---|
시민단체 "역대급 투기조장 대책" 반응, 변창흠표 부동산 대책 실망 (0) | 2021.02.04 |
한국 조선업전망 수주규모 증가 예상 (0) | 2021.02.04 |
블랙록보유주식 두산퓨얼셀, LG디스플레이, 엔씨소프트, 신한지주, 포스코, 네이버, 삼성전자 (0) | 2021.02.04 |
애플카 개발 4조 투자설 기아차, 장중 10만원 돌파 (0) | 2021.02.03 |
댓글